저번 포스팅에서 30일에 마스크 해제에 대한 포스팅을 했습니다.
오늘은 30일 마스크 해제에 맞춰서 은행 영업시간 정상화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약 1년 반 동안 이어진 은행들의 '1시간 단축 영업'(오전 9시 30분∼오후 3시 30분)이 오는 30일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와 동시에 끝날 전망입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는 이날 시중은행을 포함한 회원사들에 영업시간 정상화 관련 안내 공문을 보냈습니다. 이를 두고 노조는 "사용자 측이 일방적으로 통보했다"며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직 갈등이 있어 보입니다. 은행업무를 보러 가면 짧은 영업시간으로 인해 불편을 겪는 고객들이 많았는데, 아직 노조가 원하는 30분 연장과 시중은행 사측을 대표하는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금사협)가 원하는 1시간 안이 확실하게 정해진거는 아니지만 법적인 결론이 나기 전까지는 코로나 이전 업무시간으로 돌아갈 예정입니다. 업무시간 연장으로 인해 더 여유 있게 업무를 보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양측의 입장을 확인해보면
금융노조 측
노조는 내점 고객이 거의 없는 오전 시간 영업개시는 현행대로 오전 9시 30분에 하되 영업마감 시간은 현행 오후 3시 30분에서 4시로 늦추는 방안을 사용자 측에 제안했습니다. "사용자들은 과거 회귀 입장만 주장하고 있지만 향후 영업시간을 국내 은행과 외국계 은행 모두 9시 30분~16시로 통일해 운영하는 방안, 일부 시중은행이 시행 중인 9 TO 6 영업점 등 유연근무 점포를 확대해 고객 편의성을 높이는 방안, 점포폐쇄 자제 노력 등을 제안해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라고 밝혔습니다.
금사협 측
금사협 관계자는 “노사 합의에 따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치가 해제될 때까지 영업시간을 단축하기로 했었다”면서 “30일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면 영업시간을 계속해서 단축할 근거도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기타 의견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앞서 11일 성명을 내고 "지난해 4월 18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국민은 일상생활로 돌아왔으나 여전히 은행의 영업시간 단축 운영이 지속되고 있다"며 "소비자에게는 대면, 비대면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있고 은행은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줘야 한다. 영업시간 단축은 소비자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10일 "거리두기 해제로 국민 경제활동이 정상화되고 있음에도 은행의 영업시간 단축이 지속되면서 불편이 커지고 있다"며 "은행 노사 간 원만한 협의를 통해 영업시간이 하루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라고 촉구했습니다.
양측 의견과 기타 의견들을 들어보면 노동자 입장도 사용자 입자도 이해가 되지만 코로나 마스크 해제와 고객들의 편의성을 위해 영업시간을 이전으로 정상화하는 게 고객만족을 높일 수 있는 길이 아닌가 개인적인 생각을 해봅니다.
아니면 노조 측에서 얘기하는 대로 업무시간은 유지하더라도 유연근무 점포를 더 확대해서 고객이 출근 전이나 아니면 퇴근 후에 업무를 볼 수 있는 점포를 다방면으로 확대하는 방법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